수요일, 6월 09, 2010

언론과 트위터 분위기가 다른 이유는?




언론 조작은 역사도 오래 됐고 예나 지금이나 우매한 백성들을 다스리는 주요 수단이다.

주로 정보를 얻는 매체가 신문과 방송과 같은 매스미디어일 경우에는 통제가 간단하다. 언론만 장악하면 끝이다. 원하는 대로 기사를 맞춰 쓸 수 있으니 그야말로 편하기 이를데 없다.

인터넷으로 오면서 사정은 좀 달라졌다. 이제 정부가 인터넷에 떠도는 수 많은 유언비어들을 통제할 수 없는 지경으로 발전된 것이다. 이미 판도라의 상자는 열렸고 다시 예전의 통제 방식으로 돌아갈 수는 없다. 이미 네티즌들은 머리가 굵어진 것이다.

그래서 전략을 바꿀 수 밖에 없다. 키보드 워리어로 불리기도 하고 사이버 전사, 일명 '알바'를 투입하여 여론의 물을 흐리는 전략으로 갈아타는 것. 누군가 심각한 이야기를 하면 말 꼬투리 잡아서 지저분한 개싸움으로 몰고가서 정나미 떨어지게 만들기, 전혀 상관 없는 이야기 도배로 기존 논란거리 덮기 등이 있다. 미꾸라지 한 마리가 물을 흐리는 것은 간단하기 때문이다.

어차피 미꾸라지를 하나 하나 빼 내는 것은 불가능 하다. 누가 미꾸라지 인지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진 않지만 머리아픈 일이다. 모든 글을 읽을 때 글쓴이의 의도를 정확히 인지하고, 현재의 토론 중심에서 벗어나는 지 해석하는 것은 매우 피곤한 일이다. 일명 '알바'는 물을 흐리려는 목적을 가지고 접근하기 위해 자신을 철저히 위장하기 때문에, 마치 스팸 메일을 보는 듯 하다. 애초에 그놈들을 잡아내는 수고 자체가 이미 지고 있는 게임이라는 의미이다.

트위터는 이런 면에서 참신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근본적으로 트위팅이 인간의 진실된 가치 판단외에 다른 것이 들어가기 어렵기 때문이다. 검색어 순위, 클릭 수, 추천 수 따위는 알바 풀면 얼마든지 조작이 가능하다. 하지만, 내가 보는 트위터에 해당 내용이 올라오려면 내가 팔로우 하는 사람들 중 하나가 트윗이나 리트윗을 해야 한다, 다른 방법은 없다.

트위터는 팔로우할 가치가 없으면 팔로우 하지 않는다. 그 트위터 내용 자체가 팔로우 할 이유가 되는 것이다. 알바가 이런 상황에서 제대로 영향을 미치려면 수 만명, 수십만명이 팔로우 하는 트위터를 운영해야 하는데 이렇다면 더 이상 '알바'는 아니다.


금요일, 6월 04, 2010

[혼돈] 입자와 파동 이야기

현대물리학을 조금이라도 들어 봤던 사람들은 입자와 파동이야기를 기억할 것이다.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알려진 빛은 그 파장이 짧아질 수록 입자효과가 두드러진다는 것.
그 이론은 아인슈타인이 노벨상을 받게한 광전효과로 대표된다.

이에 반해 입자로 알려진 전자, 그러나 이 역시 파동이어야만 설명이 되는 간섭무늬를 만들어 낸다.

사실 이런 정도로 깊게 들어가기 시작하면 우리가 어렸을 때 "항상 '왜 그럴까?' 를 질문해 봐" 라고 배웠던 것들이 퇴색하기 시작한다. 뉴턴도 그랬었고 현재의 양자역학도 그렇다. 단지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가장 그럴 듯 한 모델이 그것이다라는 것일 뿐.

그러한 모델이 정확할 수록 우리에게 가져다 주는 이득은 미래를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