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 8월 27, 2013

최저 생계비와 중산층 소득


보건 복지부 페이지에 게시된 4인가족 최저 생계비는 약 150만원 정도다.

  http://team.mw.go.kr/blss/_data/htmlView.jsp?menu_cd=B_02_06_01_01_10

4인 가족이 외벌이라면 월급 150만원으로는 여유분이 전혀 없다는 의미다.

연봉으로 따지면 '실수령액' 기준으로 약 1800만원이 된다.


근데 연봉 1800인 저 가구, 저 가구는 놀랍게도 중산층이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중산층 가구는 연소득 1800~5500만원이기 때문이다.

  http://www.ytn.co.kr/_ln/0102_201308271614067248


일요일, 5월 26, 2013

실수에 대하여

자신의 행동이 잘못된 것을 이미 일이 저질러진 후에 알아챈 경우가 있는가?

이러한 실수는 누구나 할 수 있다.

아무리 꼼꼼한 사람이라도 예외는 없다.

실수의 결과는 스펙트럼이 다양하다.  결과에 차이가 없는 것 부터 시작해서 치명적인 실수 까지 다양하다. 이는 비선형 혼돈의 체계에서는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실수를 눈치 채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그 실수에 의해 피해를 보는 당사자 까지도 말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다양한 실수에 대해 우리는 도대체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을까?

실수 했던 것을 원복시킬수만 있다면 참 좋겠지만 사실 실수는 회복이 되지 않는다, 마치 엎질러진 물이나 내뱉은 말과 같이.

애초에 치명적인 실수를 한 경우 목숨이 그 댓가일 것이다.

목숨을 지불하지 않더라도 회복 불가능한 피해를 입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 회복 불가능한 피해가 신체의 일부든, 다시 얻기 힘든 아티팩트든, 친구관계든 앞으로 짊어지고 살아가야 할 하나의 짐이 될 것이다.

다행히 그 피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회복하거나 희석 가능다고 하면 매우 다행인 경우다. 귀중한 실수로부터의 지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인간이 말과 글로써 간접 경험을 쌓기 전까지 유일하게 의존했던 지혜는 이렇게 치명적이지 않은 직접 경험을 통해서였다.  현재도 직접 경험이 주는 지식은 시간적으로 보았을 경우 평생 동안 몇 번 경험하지 못하는 아주 귀중한 경험인데다 간접경험으로 얻는 지식과는 매우 다르다.

이렇게 귀중한 경험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면 그 사람은 엄청난 기회를 놓치는 셈이다.

귀중한 경험을 놓치는 방법으로는 자신의 실수를 부정하는 방법이 있다. 자기가 실수를 하지 않았다고 믿어버리는 것이다.  무엇이 실수인지 알 수 있는 기회를 날려버림으로 소중한 경험을 낭비해 버리고 마는 것이다.  실수에 의한 피해자에게 사과를 하는 기회도 없애버림으로써 회복의 기회도 없애버리게 된다.

경험으로 승화시키기 위해서 첫 단계는 실수를 인정하는 것. 그래야 그 다음단계로 진행이 가능하다.

그 다음은 실수의 근본 원인을 찾아야 한다. 그래야 정확한 재발 방지가 가능할 테니까.  이때, 정확한 논리적인 추론이 필요하다. 비 논리적인 추론은 하지 않느니만 못한 경우가 많다.

그 다음은 수습을 해야 한다.  이 단계는 그야말로 경우에 따라 달라 원론적인 이야기 밖에 할 수 없지만, 근본 원칙은 재발방지가 되겠다.


목요일, 4월 25, 2013

한국 노동생산성




한국 노동생산성 OECD 34개국 중 23위

과연 그럴까?

기사 내용만 가지고 재 구성을 해 보자.

제목 밑에 적혀 있는 "시간당 노동생산성은 28위로 최하위 근접" 이라고 돼 있다.

이는 우리 나라의 노동시간이 비 정상적으로 길 다는 데 있다.

얼마나 긴지는 통계마다 약간씩 다르지만...

여기를 보면 대충 감은 잡을 수 있을 듯 하다


다음은 제조업/서비스업 분류를 보자....

제조업은 그나마 지표가 좀 나은 것 같은데...  서비스업은

한국의 서비스업 취업자당 생산성은 제조업과 대비해 46.8%에 머물렀다. 2001∼2010년 제조업의 노동생산성 평균 증가율이 7.02%로 높았던 반면 서비스업은 1.26%로 매우 더디게 성장했다.

제조업은 괜찮은데 서비스업쪽은 생산성 자체도 암울하고(반도 안됨) 생산성 증가율도 암울하다.

요즘 창조 뭐시기 하는 데 서비스 업종의 하나인 IT근로자의 노동시간과, 노동생산성, 노동생산성 증가율만 보면 그냥 암울한 미래가 보인다.

아.. 그 기사의 결론은

산업부는 "우리나라의 취업자당·시간당 노동생산성이 다른 OECD 회원국들과 비교해 매우 낮은 수준이지만 연간 증가율이 주요국보다 월등히 높아 격차를 점차 줄여나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
..
.

어떻게 저런 결론이 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