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 2월 21, 2006

번호표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 겠지만, 콜롬비아란 곳에서 뭔가를 하려면 우선 그 나라 국민성과 주변환경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 그렇지 않고 추진을 하다가는 쫄딱 망한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 크게 성공한 '농축 섬유 유연제'를 국내에 들여왔다가 쫄딱 망했다는 것은 아는 사람은 아는 내용이다. 이 내용이 뭔고 하니, 농축 세제와 세제와의 관계처럼 유연제도 농축을 한 것이다. 일본의 경우 주거환경도 매우 협소하고 작은 것을 좋아하는데다가, 워낙 매뉴얼대로 하는 성격이 짙어서 적은 유연제로도 같은 효과를 본다는 것이 매우 긍정으로 받아들여져서 대 히트를 쳤다. 똑같은 개념을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서 팔았는데, 애초에 한국인들은 세제나 유연제를 넣을 때 계량해서 넣는 일이 없다. 그러다보니 싼값에 넉넉해 보이는 유연제가 훨씬 더 잘 팔리는 것이다.

콜롬비아에서는 인건비에 대해서 매우 가늠을 하기가 힘들다. 가정부 하루 사용하는데 이만페소면 우리나라 돈으로 약 만원정도 인데, 한국과 비교하면 천지차이다. 그런데 이런 계약직이 아니라 정식으로 일을 한다고 치면, 일의 효율로 봤을 때는 많이 나가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휴가라던지 기타 제반사항들 때문에 한국같이 '월화수목금금토'로 일을 할 수도 없을 뿐더러 일 하는 것도 상당히 느슨해서 실제로는 그다지 이익을 본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고 한다.

전에 비자 받으러 갔을 때, 우리나라 같으면 매우 보편화 돼 있는 '번호표'를 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와 차이점이라면 여기는 번호표를 사람이 나눠주고 사람이 부른다. 번호표는 재활용을 위해 코팅이 돼 있다. 줄을 서서 들어오면 번호표를 1번 부터 주욱 나눠주고 나눠주는 사람이 살펴보다가 줄이 짧아지면 다음 번호를 불러주는 식으로 진행이 된다.

이런걸 보면서 자동화라는 것에 대하여 좀 생각을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회사야 사람을 짤라서 인건비 절약하면 좋지만, 짤린 사람은 돈을 못 벌기 때문에 경제활동에서 제외되고, 그러면 회사는 매출이 떨어져서 다시 사람을 짜르고... 이런 악순환의 고리가 바로 보이기 때문이다.

댓글 없음: